『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원고작성요령
제정 : 2013.11. 8
개정: 2019. 4. 5
2차 개정: 2019. 7. 5
3차 개정: 2021. 4. 9
4차 개정: 2021. 11. 5
1. 논문 분량은 A4용지 20매 내외(참고문헌 포함)를 원칙으로 하되, 이를 초과할 경우 최대 30쪽을 넘을 수 없다.
2. 논문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한글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집필한다.
|
2) 영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집필한다.
|
1) 편집용지: 용지종류(크라운판[176×248mm]), 여백(위쪽 15, 머리말 15, 꼬리말 15, 아래쪽 15, 왼쪽 25, 오른쪽 25)
2) 글자 및 문단모양
| 글자모양 | 문단모양 | ||||||
크기 | 글꼴 | 장평 | 자간 | 정렬 | 첫줄 | 줄간격 | ||
논문제목 | 15 | 휴먼명조 (진하게) | 100 | -10 | 가운데 | 보통 | 180% | |
저자명 | 10 | 휴먼명조 (진하게) | 100 | -10 | 오른쪽 | 보통 | 167% | |
국문 초록 | 9 | 휴먼명조 | 100 | -10 | 양쪽 | 들여쓰기 10 | 167% | |
주제어 | 9 | 신명중고딕 | 100 | -10 | 양쪽 | 보통 | 167% | |
제 목 | 1단계:Ⅰ, Ⅱ, Ⅲ | 13 | 휴먼명조 (진하게) | 100 | -10 | 가운데 | 보통 | 167% |
2단계:1, 2, 3 | 10 | 맑은고딕 (진하게) | 100 | -3 | 양쪽 | 보통 | 167% | |
3단계:1) 2) 3) | 10 | 휴먼명조 (진하게) | 100 | 0 | 양쪽 | 보통 | 167% | |
4단계:(1)(2)3) | 10 | 휴먼명조 | 100 | 0 | 양쪽 | 보통 | 167% | |
5단계:①②③ | 10 | 휴먼명조 | 100 | 0 | 양쪽 | 보통 | 167% | |
각 주 | 9 | 휴먼명조 | 90 | -10 | 양쪽 | 내어쓰기 10 | 130% | |
본문 | 10 | 휴먼명조 | 100 | -10 | 양쪽 | 들여쓰기 10 | 167% | |
표 | 표 제목 | 10 | 휴먼명조 | 100 | -10 | 가운데 | 보통 | 167% |
표 내용 | 9 | 휴먼명조 | 100 | -10 | | | 130% | |
표 주 | 9 | 휴먼명조 | 100 | -10 | 왼쪽 | 보통 | 130% | |
셀/테두리 | 맨 윗줄, 아랫줄 굵기: 0.4㎜, 구분 아래 두 줄 처리: 0.5㎜, 나머지 구분선: 0.12㎜ | |||||||
그림 제목 | 9 | 중고딕 | 100 | -10 | 가운데 | 들여쓰기 10 | 167% | |
참고문헌 | 10 | 휴먼명조 | 100 | -10 | 양쪽 | 내어쓰기 30 | 167% | |
영문 초록 | 제목 | 13 | 휴먼명조 (진하게) | 100 | -10 | 가운데 | 보통 | 167% |
저자명 | 10 | 휴먼명조 (진하게) | 100 | -10 | 오른쪽 | 보통 | 167% | |
초록 본문 | 10 | 휴먼명조 | 100 | -10 | 양쪽 | 보통 | 167% | |
keywords | 10 | 휴먼명조 (이탤릭) | 100 | -10 | 양쪽 | 내어쓰기 54.2 | 180% (문단아래4) |
4. 저자 표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논문투고자는 투고자의 소속과 직위(저자정보)를 정확하게 밝혀 연구의 신뢰성을 제고하여야 한다. 이를테면 대학 교원인 경우에는 소속 대학과 교수 직위를, 학생인 경우에는 소속 대학과 학과를, 기관 소속일 경우에는 소속 기관을 논문에 밝혀야 한다. 저자의 성명과 소속은 게재가 확정된 후 논문의 최종본에 기술한다.
예) 김XX(소속)† 장XX(소속)††3) 공동연구의 경우, 주저자와 교신저자를 명시하여야 하며, 이에 대한 구분과 표시 방법은 아래와 같다.
5. 연구비 지원을 받은 논문 또는 학위논문의 경우 그 내용을 논문의 첫 장에 제목의 각주로 명시한다.+주저자 ++교신저자
* 이 논문은 ○○년도 ○○○○의 지원을 받아 연구함.
* 이 논문은 ○○년도 ○○○○의 연구용역보고서 “○○○○○○”의 자료를 부분적으로 활용하였음.
* 이 논문은 필자의 ○○학위논문을 수정·요약한 것임.
- 김유식 외(1995)의 연구는 ...
- Johnson과 Goodenow(2017)에 따르면 ...
- Wehman 등(1998)은...
2) 2편 이상의 서로 다른 저술을 인용할 경우 년도 순으로 세미콜론(;)을 사용하여 구분한다.
예)
-기능할 수 있다(김민선·최보금, 2014; 김지영 외, 2019; Freeman et al., 2007)
예)
오인표, 1993, 『한국인의 의식구조』, 서울: 민음사.
김아람, 2008, “1950~1960년대 전반한국의 혼혈인 문제-입양과 교육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김한올·김현준·이강현·양경은, 2019, “한국 거주 조선족의 이중정체성 및 문화적응 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복지와 문화다양성 연구』, 1(1): 69-88.
정익중, 2008, “새터민 청소년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이혜원 편, 『청소년 권리와 청소년 복지』, 서울: 인간과 복지, 331-348.
한국일보, 2012, “빈곤 사각지대 차상위층 늘었다”, 2012년 6월 5일.
통계청, 2011, “가구원의 만성질환”, http://www.kosis.kr.
Gellman, W., and Soloff, A., 1976, Vocational Evaluation. In B. Bolton(Ed.), Handbook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rehabilitation(pp.173-186). Baltimore: University Park Press.
Botterbusch, K. F., and Smick, D., 1990, “Supported employment models: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22(3): 95-102.
Marra, R. M., Rodgers, K. A., Shen, D., and Bogue, B., 2012, “Leaving engineering: A multi‐year single institution stud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101(1): 6-27.